42
이런 식으로 여러분은 동료 시민들을 단결시키고 동원하여 사회의 진정한 정서를 반영하지 않고는 어떤 일도 강요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국가 공동체의 입법을 그리스도적인 방식으로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결혼, 교육, 공중도덕, 재산 등에 관한 법률 등 사람들의 삶에 기본이 되는 영역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가족에 대한 존중이 이혼을 전제로 한다면 어떻게 그리스도교 법이 될 수 있을까요? 종교적 다양성을 자랑하는 일부 사회가 공립학교에서 동일한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까요? 공립학교에서 모든 학생은 자신의 신앙에 따라 종교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사유재산이 공익을 위해 필요한 제한을 받는다면 개인에게는 자유의 도구이며, 인류와 가족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 선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것일까요? 이러한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국가는 가톨릭 국가도, 인도적인 국가도 아닌 것으로 간주됩니다. 눈앞의 그림이 보이시나요? 여러분은 이러한 점과 다른 중요한 점들에 대해 열심히 싸워야 합니다.
다른 언어로 된 이 항
에서 인쇄된 문서 https://escriva.org/ko/carta-29/42/ (2025-10-25.)